https://www.acmicpc.net/problem/14725
14725번: 개미굴
첫 번째 줄은 로봇 개미가 각 층을 따라 내려오면서 알게 된 먹이의 정보 개수 N개가 주어진다. (1 ≤ N ≤ 1000) 두 번째 줄부터 N+1 번째 줄까지, 각 줄의 시작은 로봇 개미 한마리가 보내준 먹이
www.acmicpc.net
개미는(뚠뚠) 오늘도(뚠뚠) 열심히(뚠뚠) 일을 하네.
개미는 아무말도 하지 않지만 땀을 뻘뻘 흘리면서 매일 매일을 살길 위해서 열심히 일을 하네.
한 치 앞도(뚠뚠) 모르는(뚠뚠) 험한 이 세상(뚠뚠) 그렇지만(뚠뚠) 오늘도 행복한 개미들!
우리의 천재 공학자 윤수는 이 개미들이 왜 행복한지 궁금해졌다.
행복의 비결이 개미가 사는 개미굴에 있다고 생각한 윤수는 개미굴의 구조를 알아보기 위해 로봇 개미를 만들었다.
로봇 개미는 센서가 있어 개미굴의 각 층에 먹이가 있는 방을 따라 내려가다 더 이상 내려갈 수 없으면 그 자리에서 움직이지 않고 신호를 보낸다.
이 신호로 로봇 개미는 개미굴 각 층을 따라 내려오면서 알게 된 각 방에 저장된 먹이 정보를 윤수한테 알려줄 수 있다.
로봇 개미 개발을 완료한 윤수는 개미굴 탐사를 앞두고 로봇 개미를 테스트 해보기 위해 위 그림의 개미굴에 로봇 개미를 투입했다. (로봇 개미의 수는 각 개미굴의 저장소를 모두 확인할 수 있을 만큼 넣는다.)
다음은 로봇 개미들이 윤수에게 보내준 정보다.
- KIWI BANANA
- KIWI APPLE
- APPLE APPLE
- APPLE BANANA KIWI
(공백을 기준으로 왼쪽부터 순서대로 로봇 개미가 각 층마다 지나온 방에 있는 먹이 이름을 뜻한다.)
윤수는 로봇 개미들이 보내준 정보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개미굴의 구조를 손으로 그려봤다.
APPLE --APPLE --BANANA ----KIWI KIWI --APPLE --BANANA
(개미굴의 각 층은 "--" 로 구분을 하였다.
또 같은 층에 여러 개의 방이 있을 때에는 사전 순서가 앞서는 먹이 정보가 먼저 나온다.)
우리의 천재 공학자 윤수는 복잡한 개미굴들을 일일이 손으로 그리기 힘들어 우리에게 그려달라고 부탁했다.
한치 앞도 모르는 험한 이세상 그렇지만 오늘도 행복한 개미들!
행복의 비결을 알기 위해 윤수를 도와 개미굴이 어떤 구조인지 확인해보자.
입력
첫 번째 줄은 로봇 개미가 각 층을 따라 내려오면서 알게 된 먹이의 정보 개수 N개가 주어진다. (1 ≤ N ≤ 1000)
두 번째 줄부터 N+1 번째 줄까지, 각 줄의 시작은 로봇 개미 한마리가 보내준 먹이 정보 개수 K가 주어진다. (1 ≤ K ≤ 15)
다음 K개의 입력은 로봇 개미가 왼쪽부터 순서대로 각 층마다 지나온 방에 있는 먹이 정보이며 먹이 이름 길이 t는 (1 ≤ t ≤ 15) 이다.
출력
개미굴의 시각화된 구조를 출력하여라.
개미굴의 각 층을 "--" 로 구분하며, 같은 층에 여러개의 방이 있을 때에는 사전 순서가 앞서는 먹이 정보가 먼저 나온다.
예제 입력 1
3
2 B A
4 A B C D
2 A C
예제 출력 1 복사
A
--B
----C
------D
--C
B
--A
예제 입력 2
4
2 KIWI BANANA
2 KIWI APPLE
2 APPLE APPLE
3 APPLE BANANA KIWI
예제 출력 2
APPLE
--APPLE
--BANANA
----KIWI
KIWI
--APPLE
--BANANA
[문제 풀이]
TreeMap을 이용하여 문제를 해결하였다. 같은 층에 여러 개의 방이 있을 때에는 사전 순서가 앞서는 먹이 정보가 먼저 나와야 하기 때문에 객체 저장 시 키 값에 따라 오름차순으로 자동 정렬되는 특성을 가진 TreeMap을 이용하였다.
TreeMap의 key는 정렬의 대상이 될 먹이의 정보를 저장할 것이고, value는 자식 노드들을 TreeMap으로 저장할 것이다.
현재 탐색 노드를 TreeMap cur로 가리키고 그 밑에 자식 노드들을 저장하면 된다.
이렇게 저장한 TreeMap을 출력하는 것은 DFS를 이용한다.
루트 노드 부터 출력하고 그 자식 노드로 들어가면서 출력하는데, 재귀로 print함수에 들어갈 때마다 n을 1씩 증가시켜 "--"를 먹이 정보 앞에 n의 개수만큼 붙여준다.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static void print(TreeMap map, int n) {
//DFS
for(Object s : map.keySet()) {
for(int i = 0 ; i < n ; i++)
sb.append("--");
sb.append(s + "\n");
print((TreeMap)map.get(s),n+1);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K;
TreeMap<String, TreeMap > map = new TreeMap<>();
for(int i=0;i<N;i++) {
K = sc.nextInt();
TreeMap cur = map;
for(int j=0;j<K;j++) {
String str = sc.next();
if(cur.get(str) == null)
cur.put(str, new TreeMap<>());
cur = (TreeMap)cur.get(str);
}
}
print(map,0);
System.out.print(sb);
}
}
'Algorithm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7576: 토마토(JAVA) (0) | 2021.10.04 |
---|---|
[BOJ] 1991: 트리 순회(JAVA) (0) | 2021.10.01 |
[BOJ] 1260: DFS와 BFS(JAVA) (0) | 2021.09.27 |
[BOJ] 1149: RGB거리(JAVA) (0) | 2021.09.27 |
[BOJ] 1932: 정수 삼각형(JAVA) (0) | 2021.09.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