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83201
코딩테스트 연습 - 2주차
[[100,90,98,88,65],[50,45,99,85,77],[47,88,95,80,67],[61,57,100,80,65],[24,90,94,75,65]] "FBABD" [[70,49,90],[68,50,38],[73,31,100]] "CFD"
programmers.co.kr
코딩테스트 연습 - 위클리 챌린지 - 2주차
상호 평가
[문제 설명]
대학 교수인 당신은, 상호평가를 통하여 학생들이 제출한 과제물에 학점을 부여하려고 합니다. 아래는 0번부터 4번까지 번호가 매겨진 5명의 학생들이 자신과 다른 학생의 과제를 평가한 점수표입니다.
No. | 0 | 1 | 2 | 3 | 4 |
0 | 90 | 98 | 88 | 65 | |
1 | 50 | 99 | 85 | 77 | |
2 | 47 | 88 | 95 | 80 | 67 |
3 | 61 | 57 | 100 | 80 | 65 |
4 | 24 | 90 | 94 | 75 | 65 |
평균 | 45.5 | 81.25 | 97.2 | 81.6 | 67.8 |
학점 | F | B | A | B | D |
위의 점수표에서, i행 j열의 값은 i번 학생이 평가한 j번 학생의 과제 점수입니다.
- 0번 학생이 평가한 점수는 0번 행에담긴 [100, 90, 98, 88, 65]입니다.
- 0번 학생은 자기 자신에게 100점, 1번 학생에게 90점, 2번 학생에게 98점, 3번 학생에게 88점, 4번 학생에게 65점을 부여했습니다.
- 2번 학생이 평가한 점수는 2번 행에담긴 [47, 88, 95, 80, 67]입니다.
- 2번 학생은 0번 학생에게 47점, 1번 학생에게 88점, 자기 자신에게 95점, 3번 학생에게 80점, 4번 학생에게 67점을 부여했습니다.
당신은 각 학생들이 받은 점수의 평균을 구하여, 기준에 따라 학점을 부여하려고 합니다.
만약, 학생들이 자기 자신을 평가한 점수가 유일한 최고점 또는 유일한 최저점이라면 그 점수는 제외하고 평균을 구합니다.
- 0번 학생이 받은 점수는 0번 열에 담긴 [100, 50, 47, 61, 24]입니다. 자기 자신을 평가한 100점은 자신이 받은 점수 중에서 유일한 최고점이므로, 평균을 구할 때 제외합니다.
- 0번 학생의 평균 점수는 (50+47+61+24) / 4 = 45.5입니다.
- 4번 학생이 받은 점수는 4번 열에 담긴 [65, 77, 67, 65, 65]입니다. 자기 자신을 평가한 65점은 자신이 받은 점수 중에서 최저점이지만 같은 점수가 2개 더 있으므로, 유일한 최저점이 아닙니다. 따라서, 평균을 구할 때 제외하지 않습니다.
- 4번 학생의 평균 점수는 (65+77+67+65+65) / 5 = 67.8입니다.
제외할 점수는 제외하고 평균을 구한 후, 아래 기준에 따라 학점을 부여합니다.
평균 | 학점 |
90점 이상 | A |
80점 이상 90점 미만 | B |
70점 이상 80점 미만 | C |
50점 이상 70점 미만 | D |
50점 미만 | F |
학생들의 점수가 담긴 정수형 2차원 배열 score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때, 학생들의 학점을 구하여 하나의 문자열로 만들어서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2 ≤ scores의 행의 길이(학생 수) ≤ 10
- scores의 열의 길이 = scores의 행의 길이
- 즉, scores는 행과 열의 길이가 같은 2차원 배열입니다.
- 0 ≤ scores의 원소 ≤ 100
- return 값 형식
- 0번 학생의 학점부터 차례대로 이어 붙인 하나의 문자열을 return 합니다.
입출력 예
scores | result |
[[100,90,98,88,65],[50,45,99,85,77],[47,88,95,80,67],[61,57,100,80,65],[24,90,94,75,65]] | "FBABD" |
[[50,90],[50,87]] | "DA" |
[[70,49,90],[68,50,38],[73,31,100]] | "CFD"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No. | 0 | 1 |
0 | 50 | 90 |
1 | 50 | |
평균 | 50 | 90 |
학점 | D | A |
- 1번 학생이 자기 자신을 평가한 87점은 [90, 87]에서 유일한 최저점이므로, 평균을 구할 때 제외합니다.
입출력 예 #3
No. | 0 | 1 | 2 |
0 | 70 | 49 | 90 |
1 | 68 | 38 | |
2 | 73 | 31 | |
평균 | 70.33… | 40 | 64 |
학점 | C | F | D |
- 1번 학생이 자기 자신을 평가한 50점은 [49, 50, 31]에서 유일한 최고점이므로, 평균을 구할 때 제외합니다.
- 2번 학생이 자기 자신을 평가한 100점은 [90, 38, 100]에서 유일한 최고점이므로, 평균을 구할 때 제외합니다.
[문제 분석]
단순 점수의 합을 구해 평균을 내는 것은 쉽지만 이 문제의 포인트는 자기 자신을 평가한 점수가 유일한 최솟값이거나 최댓값인지 여부를 파악하는 것이다.
최솟값과 최댓값을 찾고, 자기 자신과 비교하고, 해당 점수가 또 존재하는 지를 따로 구할 수도 있겠지만 꽤나 번거롭다고 여겨졌다. 그래서 한번에 최솟값과 최댓값을 구하면서 그 값이 자기 자신인지 아닌지를 체크하기로 했다.
[변수 설명] String answer: result float avg: 탐색중인 인덱스의 학생의 평균 점수 int sum: 해당 학생이 받은 점수의 합 int m: 해당 학생이 본인을 평가한 점수 int min: 해당 학생이 받은 점수 중 최솟값 int max: 해당 학생이 받은 점수 중 최댓값 boolean min_c : 최솟값이 해당 학생이 매긴 점수가 아니거나, 학생 외에 또 존재하는 경우 true boolean max_c: 최댓값이 해당 학생이 매긴 점수가 아니거나, 학생 외애 또 존재하는 경우 true |
1. 반복문을 통해 해당 학생이 받은 점수의 합과 최댓값, 최솟값을 구한다.
1-1. sum += scores[j][i]
-> j행 i열은 j번 학생이 평가한 i번 학생의 점수이므로, 점수의 합은 열은 고정해두고 행을 변경하며 더해줘야 한다.
1-2. max와 min의 초기값은 해당 학생이 자신을 평가한 점수이다.
-> 만약 max가 현재 인덱스의 점수보다 크거나 같고, 자기 자신이 평가한 점수가 아니라면(i!=j), 최댓값이 자기 자신이 평가한 점수보다 크거나, 유일한 최댓값 아니라는 것이므로 max_c=true로 변경해준다.
-> 만약 min이 현재 인덱스의 점수보다 작거나 같고, 자기 자신이 평가한 점수가 아니라면(i!=j), 최댓값이 자기 자신이 평가한 점수보다 작거나, 유일한 최솟값 아니라는 것이므로 min_c=true로 변경해준다.
2. 점수의 합과 최댓값, 최솟값을 구하고 나면 평균을 구해주어야 한다. 자기 자신이 평가한 점수가 유일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인 경우는 해당 값을 빼고 평균을 내야 하므로, 다음 조건을 검사한다.
2-1. 만약 자기 자신이 평가한 점수(m)가 최댓값(max)과 같고, max_c가 false라면 (m==max&&!max_c) 자신이 유일한 최댓값인 것이므로 sum에서 m값을 빼주고, 평균(avg)에서 sum을 나눠 줄 때도 학생 수-1로 나눠준다.
2-2. 만약 자기 자신이 평가한 점수(m)가 최솟값(min)과 같고, min_c가 false라면 (m==min&&!min_c) 자신이 유일한 최솟값인 것이므로 sum에서 m값을 빼주고, 평균(avg)에서 sum을 나눠 줄 때도 학생 수-1로 나눠준다.
2-3. 위 조건에 해당하지 않으면 단순 평균을 내준다. (평균 = 점수 합 / 학생 수)
3. 아래 조건에 따라 해당 학생에게 학점을 부여한다.
평균 | 학점 |
90점 이상 | A |
80점 이상 90점 미만 | B |
70점 이상 80점 미만 | C |
50점 이상 70점 미만 | D |
50점 미만 | F |
3-1. if(avg>=90) answer+="A";
3-2. else if(avg>=80) answer+="B";
3-3. else if(avg>=70) answer+="C";
3-4. else if(avg>=50) answer+="D";
3-5. else answer+="F";
[코드]
class Solution {
public String solution(int[][] scores) {
String answer = "";
float avg = 0;
for(int i=0;i<scores.length;i++){
int sum=0;
int m = scores[i][i];
int min = scores[i][i];
int max=scores[i][i];
boolean min_c=false, max_c=false;
for(int j=0;j<scores.length;j++){
sum+=scores[j][i];
if(max<=scores[j][i]&&i!=j){
max=scores[j][i];
max_c=true;
}
if(min>=scores[j][i]&&i!=j){
min=scores[j][i];
min_c=true;
}
}
if((m==max&&!max_c)||(m==min&&!min_c)){
//유일한 최댓값 또는 최솟값인 경우
sum-=m;
avg=sum/(scores.length-1);
}
else
avg=sum/scores.length;
//학점 부여
if(avg>=90)
answer+="A";
else if(avg>=80)
answer+="B";
else if(avg>=70)
answer+="C";
else if(avg>=50)
answer+="D";
else
answer+="F";
}
return answer;
}
}
'Algorithm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_[3차] n진수 게임(JAVA) (0) | 2021.08.13 |
---|---|
프로그래머스_멀리 뛰기(JAVA) (0) | 2021.08.13 |
프로그래머스_가장 먼 노드(JAVA) (1) | 2021.08.09 |
프로그래머스_ 2 x n 타일링(JAVA) (0) | 2021.08.07 |
프로그래머스_보석 쇼핑(JAVA) (0) | 2021.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