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acmicpc.net/problem/11404
11404번: 플로이드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www.acmicpc.net
n(2 ≤ n ≤ 100)개의 도시가 있다. 그리고 한 도시에서 출발하여 다른 도시에 도착하는 m(1 ≤ m ≤ 100,000)개의 버스가 있다. 각 버스는 한 번 사용할 때 필요한 비용이 있다.
모든 도시의 쌍 (A, B)에 대해서 도시 A에서 B로 가는데 필요한 비용의 최솟값을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도시의 개수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버스의 개수 m이 주어진다. 그리고 셋째 줄부터 m+2줄까지 다음과 같은 버스의 정보가 주어진다. 먼저 처음에는 그 버스의 출발 도시의 번호가 주어진다. 버스의 정보는 버스의 시작 도시 a, 도착 도시 b, 한 번 타는데 필요한 비용 c로 이루어져 있다. 시작 도시와 도착 도시가 같은 경우는 없다. 비용은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자연수이다.
시작 도시와 도착 도시를 연결하는 노선은 하나가 아닐 수 있다.
출력
n개의 줄을 출력해야 한다. i번째 줄에 출력하는 j번째 숫자는 도시 i에서 j로 가는데 필요한 최소 비용이다. 만약, i에서 j로 갈 수 없는 경우에는 그 자리에 0을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5
14
1 2 2
1 3 3
1 4 1
1 5 10
2 4 2
3 4 1
3 5 1
4 5 3
3 5 10
3 1 8
1 4 2
5 1 7
3 4 2
5 2 4
예제 출력 1
0 2 3 1 4
12 0 15 2 5
8 5 0 1 1
10 7 13 0 3
7 4 10 6 0
[문제 풀이]
플로이드 와샬 알고리즘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문제이다.
플로이드-와샬 알고리즘은 가중 그래프에서 최단 경로를 찾을 때 사용하는 알고리즘이다.
모든 정점에서 모든 정점으로의 최단 경로를 구하는 알고리즘으로, cost[i][j] 는 i 정점에서 j 정점으로 가는 최소 비용이 될 것이다.
이는 거쳐가는 정점을 기준으로 알고리즘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i=1, j=5라고 하면 cost[i][j]는 거쳐갈 수 있는 정점이 있다고 가정할 때,
cost[1][5], cost[1][2] + cost[2][5], cost[1][3] + cost[3][5], cost[1][4] + cost[4][5] ... 등 거쳐갈 수 있는 모든 정점을 지나 도착 정점에 도착하는 모든 경우의 수 중 최소 비용이 최종으로 cost[1][5]에 들어가게 된다.
비용은 100000보다 작거나 같은 수이므로 모든 비용의 합보다 큰 10000000000 으로 INF값을 설정한다.
static final int INF = 1000000000;
도시 i에서 j로 가는 최소 비용을 입력받기 전, i==j인 경우를 제외하고, cost배열의 모든 값을 INF 값으로 초기화한다.
for(int i=1;i<=n;i++) {
for(int j=1;j<=n;j++) {
if(i==j) continue;
cost[i][j] = INF;
}
}
그 다음, 도시 i에서 j로 가는 비용을 입력받아 cost[i][j]에 넣어줄 것인데,
i에서 j로 가는 경로가 여러개가 존재할 수 있고, 최소 비용을 구하고 싶은 것이므로 입력받은 i에서 j로 가는 비용 중 최솟값을 cost[i][j]에 넣어준다.
for(int i=0;i<m;i++) {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int c = sc.nextInt();
cost[a][b] = Math.min(cost[a][b],c);
}
플로이드 와샬은 i에서 j로 가는 경로를 모두 검사해 최솟값을 취하는 것이다. 따라서
k는 중간에 거치는 정점, i는 출발 정점, j는 도착 정점이라고 하고 3중 for문을 돌릴 것이고, k, i, j 값의 범위는 모두 1~정점의 개수이다.
public static void floydWarshall() {
for(int k=1;k<=n;k++) {
for(int i=1;i<=n;i++) {
for(int j=1;j<=n;j++)
cost[i][j] = Math.min(cost[i][k] + cost[k][j],cost[i][j]);
}
}
}
플로이드 와샬 함수를 적용해 모든 정점으로의 최소 비용을 구하고 난 후 값을 출력해주어야 한다. 만약 cost[i][j]의 값이 INF 이상이면, i에서 j로 가는 경로는 존재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해당 경로가 존재하지 않을 때는 0을 출력하면 되므로, StringBuilder에 0을 append한다. cost[i][j]가 INF보다 작으면 경로가 존재하는 것이므로, cost[i][j]값을 StringBuilder sb에 append하고 출력한다.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int i=1;i<=n;i++) {
for(int j=1;j<=n;j++) {
if(cost[i][j]>= INF)
sb.append("0").append(" ");
else
sb.append(cost[i][j]).append(" ");
}
sb.append("\n");
}
System.out.println(sb.toString());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static int[][] cost;
static int n;
static final int INF = 1000000000;
public static void floydWarshall() {
for(int k=1;k<=n;k++) {
for(int i=1;i<=n;i++) {
for(int j=1;j<=n;j++) {
cost[i][j] = Math.min(cost[i][k] + cost[k][j],cost[i][j]);
}
}
}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n = sc.nextInt();
int m = sc.nextInt();
cost = new int[n+1][n+1];
for(int i=1;i<=n;i++) {
for(int j=1;j<=n;j++) {
if(i==j)
continue;
cost[i][j] = INF;
}
}
for(int i=0;i<m;i++) {
int a = sc.nextInt();
int b = sc.nextInt();
int c = sc.nextInt();
cost[a][b] = Math.min(cost[a][b],c);
}
floydWarshall();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for(int i=1;i<=n;i++) {
for(int j=1;j<=n;j++) {
if(cost[i][j]>= INF)
sb.append("0").append(" ");
else
sb.append(cost[i][j]).append(" ");
}
sb.append("\n");
}
System.out.println(sb.toString());
}
}'Algorithm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 [BOJ] 1920: 수 찾기(JAVA) (0) | 2021.10.11 |
|---|---|
| [BOJ] 1753: 최단경로(JAVA) (0) | 2021.10.10 |
| [BOJ] 1012: 유기농 배추(JAVA) (0) | 2021.10.08 |
| [BOJ] 7569: 토마토(JAVA) (0) | 2021.10.07 |
| [BOJ] 9461: 파도반 수열(JAVA) (0) | 2021.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