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76502
코딩테스트 연습 - 괄호 회전하기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다음 규칙을 지키는 문자열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고 정의합니다.
- (), [], {} 는 모두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 만약 A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A), [A], {A}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 만약 A, B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라면, AB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예를 들어, {} 와 ([]) 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므로, {}([]) 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입니다.
대괄호, 중괄호, 그리고 소괄호로 이루어진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집니다. 이 s를 왼쪽으로 x (0 ≤ x < (s의 길이)) 칸만큼 회전시켰을 때 s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게 하는 x의 개수를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 s의 길이는 1 이상 1,000 이하입니다.
입출력 예
s | result |
"[](){}" | 3 |
"}]()[{" | 2 |
"[)(]" | 0 |
"}}}" | 0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 다음 표는 "[](){}" 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
x | 를 왼쪽으로 x칸만큼 회전 | 올바른 괄호 문자열? |
0 | "[](){}" | O |
1 | "](){}[" | X |
2 | "(){}[]" | O |
3 | "){}[](" | X |
4 | "{}[]()" | O |
5 | "}[](){" | X |
-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는 x가 3개이므로, 3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2
- 다음 표는 "}]()[{" 를 회전시킨 모습을 나타낸 것입니다.
x | s를 왼쪽으로 x칸만큼 회전 | 올바른 괄호 문자열? |
0 | "}]()[{" | X |
1 | "]()[{}" | X |
2 | "()[{}]" | O |
3 | ")[{}](" | X |
4 | "[{}]()" | O |
5 | "{}]()[" | X |
-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되는 x가 2개이므로, 2를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3
- s를 어떻게 회전하더라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을 만들 수 없으므로, 0을 return 해야 합니다.
입출력 예 #4
- s를 어떻게 회전하더라도 올바른 괄호 문자열을 만들 수 없으므로, 0을 return 해야 합니다.
[문제 풀이]
이 문제는 stack을 이용하여 쉽게 해결할 수 있었다.
문자열을 회전시켜가며 각 문자열마다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 검사하였다.
올바른 괄호 문자열인지는 다음과 같이 검사하였다.
0. 그 전에, 문자열의 길이가 홀수라면, 절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될 수 없다. 따라서 바로 0을 반환하고 종료한다.
밑의 과정을 문자열을 왼쪽으로 x (0 ≤ x < (s의 길이)) 칸만큼 회전시킨 값에 대해 모두 반복한다.
1. 해당 위치의 문자가 '[', '{', '(' 라면 stack에 push
2. 해당 위치의 문자가 ']', '}', ')'라면 다음을 검사하였다.
2-1. 가장 먼저 check해야 할 것은 stack이 비어있다면 비교대상이 없고, 가장 처음 등장하는 문자가 열린 괄호가 아닌 닫힌 괄호이므로 절대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될 수 없으므로 반복문을 종료한다.
2-2. 해당 위치의 문자가 ']'라면, stack에서 peek()한 문자, 즉, stack의 가장 위에 있는 문자가 '['라면 pop하여 해당 문자를 제거하고, count 변수를 2 증가시켜준다.
2-3. 해당 위치의 문자가 '}'라면, stack에서 peek()한 문자, 즉, stack의 가장 위에 있는 문자가 '{'라면 pop하여 해당 문자를 제거하고, count 변수를 2 증가시켜준다.
2-4. 해당 위치의 문자가 '('라면, stack에서 peek()한 문자, 즉, stack의 가장 위에 있는 문자가 ')'라면 pop하여 해당 문자를 제거하고, count 변수를 2 증가시켜준다.
2-5. 위의 case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반복문을 빠져나간다.
3. 반복문을 빠져나왔을 때, count 변수의 값이 s의 길이와 같다면 올바른 문자열인 것이므로 answer를 1 증가시켜준다. stack의 size가 아닌 count 변수를 사용해준 이유는, 올바른 문자열이 아님이 판단되었을 때 바로 위의 반복문을 종료하므로, 올바른 괄호 문자열이 아님에도 stack은 비어있을 수 있다. 따라서 count 값으로 해당 문자열이 올바른 문자열인지 판단한다.
4. 문자열을 회전시켜준다. s = s.substring(1)+ s.charAt(0); 해주면, s의 가장 첫번째 문자가 문자열의 마지막으로 이동하게 된다.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s) {
int answer = 0;
if(s.length()%2!=0)
return 0;
for(int i=0;i<s.length();i++){
Stack<Character> stack = new Stack<>();
int count=0;
for(int j=0;j<s.length();j++){
if(s.charAt(j)=='['||s.charAt(j)=='{'||s.charAt(j)=='(')
stack.push(s.charAt(j));
else{
if(stack.size()==0)
break;
if(s.charAt(j)==']'){
if(stack.peek()=='['){
stack.pop();
count+=2;
}
else
break;
}
else if(s.charAt(j)=='}'){
if(stack.peek()=='{'){
stack.pop();
count+=2;
}
else
break;
}
else if(s.charAt(j)==')'){
if(stack.peek()=='('){
stack.pop();
count+=2;
}
else
break;
}
}
}
if(count==s.length())
answer++;
s = s.substring(1)+s.charAt(0);
}
return answer;
}
}
'Algorithm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_큰 수 만들기(JAVA) (0) | 2021.07.29 |
---|---|
프로그래머스_숫자 문자열과 영단어(JAVA) (0) | 2021.07.27 |
프로그래머스_[1차] 추석 트래픽(JAVA) (0) | 2021.07.26 |
프로그래머스_방문 길이(JAVA) (0) | 2021.07.22 |
프로그래며스_[1차] 프렌즈4블록(JAVA) (0) | 2021.07.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