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programmers.co.kr/learn/courses/30/lessons/49994
코딩테스트 연습 - 방문 길이
programmers.co.kr
문제 설명
게임 캐릭터를 4가지 명령어를 통해 움직이려 합니다. 명령어는 다음과 같습니다.
- U: 위쪽으로 한 칸 가기
- D: 아래쪽으로 한 칸 가기
- R: 오른쪽으로 한 칸 가기
- L: 왼쪽으로 한 칸 가기
캐릭터는 좌표평면의 (0, 0) 위치에서 시작합니다. 좌표평면의 경계는 왼쪽 위(-5, 5), 왼쪽 아래(-5, -5), 오른쪽 위(5, 5), 오른쪽 아래(5, -5)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예를 들어, "ULURRD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7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 8번 명령어부터 9번 명령어까지 다음과 같이 움직입니다.
이때, 우리는 게임 캐릭터가 지나간 길 중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려고 합니다. 예를 들어 위의 예시에서 게임 캐릭터가 움직인 길이는 9이지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8, 9번 명령어에서 움직인 길은 2, 3번 명령어에서 이미 거쳐 간 길입니다)
단, 좌표평면의 경계를 넘어가는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예를 들어, "LULLLLLLU"로 명령했다면
- 1번 명령어부터 6번 명령어대로 움직인 후, 7, 8번 명령어는 무시합니다. 다시 9번 명령어대로 움직입니다.
이때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는 7이 됩니다.
명령어가 매개변수 dirs로 주어질 때, 게임 캐릭터가 처음 걸어본 길의 길이를 구하여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제한사항
- dirs는 string형으로 주어지며, 'U', 'D', 'R', 'L' 이외에 문자는 주어지지 않습니다.
- dirs의 길이는 500 이하의 자연수입니다.
입출력 예
dirs | answer |
"ULURRDLLU" | 7 |
"LULLLLLLU" | 7 |
입출력 예 설명
입출력 예 #1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입출력 예 #2
문제의 예시와 같습니다.
[문제 분석]
문제가 요구하는 답은 캐릭터가 처음 걸어보는 길의 길이를 구하는 것이었는데 캐릭터가 방문한 점만을 저장해 제대로 된 답이 나오지 않았었다. 그래서 이동 경로를 저장하여 해결하였다.
0. 캐릭터가 이동한 길을 저장하기 위한 arraylist를 선언한다.
0-1. arraylist에는 string을 저장할 것인데, 만약 캐릭터가 (0,0)에서 "R"을 만나 (1,0)으로 이동해야하는 경우라면, "0,0to1,0"과 같은 형식으로 저장할 것이고, 이 문자열은 s라고 할 것이다.
0-2. 해당 경로만 저장하는 것이 아니라 반대의 경우도 저장해주어야 한다. 왜냐하면 (0,0)에서 (1,0)으로 이동하는 길과, (1,0)에서 (0,0)으로 이동하는 길은 방향만 다를 뿐, 같은 길로 걸어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1,0to0,0" 또한 함께 저장해주어야 한다. 해당 문자열은 s2라고 할 것이다.
Arraylist에 저장할 형식은 다음과 같았다. 그러나 저장하기 전에 검사해야할 조건들이 몇가지 있다.
1. 좌표평면의 경계는 왼쪽 위(-5, 5), 왼쪽 아래(-5, -5), 오른쪽 위(5, 5), 오른쪽 아래(5, -5)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캐릭터가 현재 (-5,0)에 있는데 "L"을 만났다면 이동할 수 없다. 따라서 현재 캐릭터의 좌표와 이동해야 할 방향을 고려해주어야 한다.
1-1. 캐릭터가 "L"로 이동해야 할 차례일 때, x-1이 -5보다 작으면, 즉, x-1<-5라면 이동할 수 없는 위치이므로 continue한다.
1-2. 캐릭터가 "R"로 이동해야 할 차례일 때, x+1이 5보다 크면, 즉, x+1>5라면 이동할 수 없는 위치이므로 continue한다.
1-3. 캐릭터가 "U"로 이동해야 할 차례일 때, y+1이 5보다 크면, 즉, y+1>5라면 이동할 수 없는 위치이므로 continue한다.
1-4. 캐릭터가 "D"로 이동해야 할 차례일 때, y-1이 -5보다 작으면, 즉, y-1<-5라면 이동할 수 없는 위치이므로 continue한다.
2. 위 조건들을 모두 통과한다면, 캐릭터를 이동시키고 현재 캐릭터의 위치 좌표를 변경시킨다.
2-1. "L" -> x-=1;
2-2. "R" -> x+=1;
2-3. "U" -> y+=1;
2-4. "D" -> y-=1;
3. 만약 arraylist에 문자열 s(x1,y1tox2,y2)와 문자열 s2(x2,y2tox1,y1)가 존재하지 않는다면, 해당 길은 처음 걸어보는 길이므로 arraylist에 s와 s2를 저장하고, answer를 1 증가시킨다.
[코드]
import java.util.*;
class Solution {
public int solution(String dirs) {
int answer = 0;
int x=0, y=0; //현재 캐릭터 위치 좌표
ArrayList<String> al = new ArrayList<String>();
for(int i=0;i<dirs.length();i++){
String s ="", s2="";
if(dirs.charAt(i)=='U'){
if(y+1>5)
continue;
s = 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to"+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1);
s2 = 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1)+"to"+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
y+=1;
if(!al.contains(s)&&!al.contains(s2)){
al.add(s);
al.add(s2);
answer++;
}
}
else if(dirs.charAt(i)=='D'){
if(y-1<-5)
continue;
s = 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to"+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1);
s2 = 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1)+"to"+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
y-=1;
if(!al.contains(s)&&!al.contains(s2)){
al.add(s);
al.add(s2);
answer++;
}
}
else if(dirs.charAt(i)=='R'){
if(x+1>5)
continue;
s = 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to"+Integer.toString(x+1)+","+Integer.toString(y);
s2 = Integer.toString(x+1)+","+Integer.toString(y)+"to"+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
x+=1;
if(!al.contains(s)&&!al.contains(s2)){
al.add(s);
al.add(s2);
answer++;
}
}
else if(dirs.charAt(i)=='L'){
if(x-1<-5)
continue;
s = 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to"+Integer.toString(x-1)+","+Integer.toString(y);
s2 = Integer.toString(x-1)+","+Integer.toString(y)+"to"+Integer.toString(x)+","+Integer.toString(y);
x-=1;
if(!al.contains(s)&&!al.contains(s2)){
al.add(s);
al.add(s2);
answer++;
}
}
}
return answer;
}
}
'Algorithm > 프로그래머스'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_괄호 회전하기(JAVA) (0) | 2021.07.27 |
---|---|
프로그래머스_[1차] 추석 트래픽(JAVA) (0) | 2021.07.26 |
프로그래며스_[1차] 프렌즈4블록(JAVA) (0) | 2021.07.21 |
프로그래머스_2개 이하로 다른 비트(JAVA) (0) | 2021.07.20 |
프로그래머스_이진 변환 반복하기(JAVA) (0) | 2021.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