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lgorithm/백준

[BOJ] 11054: 가징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JAVA)

류진주 2021. 11. 5. 20:22

https://www.acmicpc.net/problem/11054

 

11054번: 가장 긴 바이토닉 부분 수열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수열 A를 이루고 있는 Ai가 주어진다. (1 ≤ N ≤ 1,000, 1 ≤ Ai ≤ 1,000)

www.acmicpc.net

문제

수열 S가 어떤 수 Sk를 기준으로 S1 < S2 < ... Sk-1 < Sk > Sk+1 > ... SN-1 > SN을 만족한다면, 그 수열을 바이토닉 수열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10, 20, 30, 25, 20}과 {10, 20, 30, 40}, {50, 40, 25, 10} 은 바이토닉 수열이지만,  {1, 2, 3, 2, 1, 2, 3, 2, 1}과 {10, 20, 30, 40, 20, 30} 은 바이토닉 수열이 아니다.

수열 A가 주어졌을 때, 그 수열의 부분 수열 중 바이토닉 수열이면서 가장 긴 수열의 길이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수열 A의 크기 N이 주어지고, 둘째 줄에는 수열 A를 이루고 있는 Ai가 주어진다. (1 ≤ N ≤ 1,000, 1 ≤ Ai ≤ 1,000)

출력

첫째 줄에 수열 A의 부분 수열 중에서 가장 긴 바이토닉 수열의 길이를 출력한다.

예제 입력 1 

10

1 5 2 1 4 3 4 5 2 1

예제 출력 1 

7


[문제 풀이]

Dynamic Programming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문제이다.

점화식을 어떻게 구현해야 할 지 모르겠어서 다른 사람의 풀이를 결국 참고했다.

오름차순 수열, 내림차순 수열 두가지를 dp를 이용해서 풀어야한다.

오름차순 수열은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부분 수열의 마지막 수라고 할 때, 오름차순 수열을 구현할 수 있는 부분 수열 길이의 최댓값을 저장할 것이고,

내림차순 수열은 현재 인덱스에 해당하는 수가 부분 수열의 가장 처음에 등장하는 수라고 할 때, 내림차순 수열을 구현할 수 있는 부분 수열 길이의 최댓값을 저장할 것이다.

 

예를 들어, 입력이 다음과 같다고 하자.

N = 10

A = {1, 5, 2, 1, 4, 3, 4, 5, 2, 1}

 

1. 오름차순, a_dp 배열

1 5 2 1 4 3 4 5 2 1
0 0 0 0 0 0 0 0 0 0

아직 한번도 탐색한 적 없다면(값이 0이면) 1로 초기화한다.(자기 자신으로만 부분 수열을 구현하는 경우)

1 5 2 1 4 3 4 5 2 1
1 0 0 0 0 0 0 0 0 0

현재 인덱스 값이 부분 수열의 마지막 수라고 할 때, 현재 인덱스보다 작은 인덱스에 해당하는 배열 값을 가지고 부분 수열을 만들 수 있는 부분 수열 길이의 최댓값을 저장할 것이다.

 

[a_dp]

기준값 - A[0]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1 5 2 1 4 3 4 5 2 1
1 0 0 0 0 0 0 0 0 0

기준값 - A[1]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5}

1 5 2 1 4 3 4 5 2 1
1 2 0 0 0 0 0 0 0 0

기준값 - A[2]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2}

1 5 2 1 4 3 4 5 2 1
1 2 2 0 0 0 0 0 0 0

기준값 - A[3]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1 5 2 1 4 3 4 5 2 1
1 2 2 1 0 0 0 0 0 0

기준값 - A[4]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2, 4}

1 5 2 1 4 3 4 5 2 1
1 2 2 1 3 0 0 0 0 0

기준값 - A[5]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2, 3}

1 5 2 1 4 3 4 5 2 1
1 2 2 1 3 3 0 0 0 0

기준값 - A[6]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2, 3, 4}

1 5 2 1 4 3 4 5 2 1
1 2 2 1 3 3 4 0 0 0

기준값 - A[7]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2, 3, 4, 5}

1 5 2 1 4 3 4 5 2 1
1 2 2 1 3 3 4 5 0 0

기준값 - A[8]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2}

1 5 2 1 4 3 4 5 2 1
1 2 2 1 3 3 4 5 2 0

기준값 - A[9]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1 5 2 1 4 3 4 5 2 1
1 2 2 1 3 3 4 5 2 1

오름차순 부분 수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내림차순은 오름차순에서 했던 것과 반대로 가장 끝 인덱스부터 탐색하면 된다.

[d_dp]

기준값 - A[9]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1 5 2 1 4 3 4 5 2 1
0 0 0 0 0 0 0 0 0 1

기준값 - A[8]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2, 1}

1 5 2 1 4 3 4 5 2 1
0 0 0 0 0 0 0 0 2 1

기준값 - A[7]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5, 2, 1}

1 5 2 1 4 3 4 5 2 1
0 0 0 0 0 0 0 3 2 1

기준값 - A[6]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4, 2, 1}

1 5 2 1 4 3 4 5 2 1
0 0 0 0 0 0 3 3 2 1

기준값 - A[5]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3, 2, 1}

1 5 2 1 4 3 4 5 2 1
0 0 0 0 0 3 3 3 2 1

기준값 - A[4]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4, 3, 2, 1}

1 5 2 1 4 3 4 5 2 1
0 0 0 0 4 3 3 3 2 1

기준값 - A[3]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1 5 2 1 4 3 4 5 2 1
0 0 0 1 4 3 3 3 2 1

기준값 - A[2]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2, 1}

1 5 2 1 4 3 4 5 2 1
0 0 2 1 4 3 3 3 2 1

기준값 - A[1]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5, 4, 3, 2, 1}

1 5 2 1 4 3 4 5 2 1
0 5 2 1 4 3 3 3 2 1

기준값 - A[0]

길이가 최대인 부분 수열 - {1}

1 5 2 1 4 3 4 5 2 1
1 5 2 1 4 3 3 3 2 1

내림차순 부분 수열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a_dp와 d_dp를 모두 구하고 나면 두 배열의 값을 합친다.

answer[i] = a_dp[i] + d_dp[i] - 1; 로 answer 배열을 완성한다.

-1을 해주는 것은 두 배열을 단순히 더하는 것이므로 기준 값(A[i])이 중복되기 때문이다.

 

a_dp

0 1 2 3 4 5 6 7 8 9
1 2 2 1 3 3 4 5 2 1

d_dp

0 1 2 3 4 5 6 7 8 9
1 5 2 1 4 3 3 3 2 1

answer

0 1 2 3 4 5 6 7 8 9
1 6 3 1 6 5 6 7 3 1

answer배열의 값 중 최댓값을 찾아 반환하면 된다.

 

 

[코드]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 = new Scanner(System.in);
		int N = sc.nextInt();
		int[] A = new int[N];
		
		for(int i=0;i<N;i++)
			A[i] = sc.nextInt();
		
		int[] a_dp = new int[N];
		int[] d_dp = new int[N];
		
		
	
		//오름차순
		
		for(int i=0;i<N;i++) {
			if(a_dp[i]==0)
				a_dp[i]=1;
			for(int j=i-1;j>=0;j--) {
				if(A[i]>A[j])
					a_dp[i] = Math.max(a_dp[i], a_dp[j]+1);
				
			}
		}
		//내림차순
		for(int i=N-1;i>=0;i--) {
			if(d_dp[i]==0)
				d_dp[i]=1;
			for(int j=i+1;j<N;j++) {
				if(A[i]>A[j])
					d_dp[i] = Math.max(d_dp[i], d_dp[j]+1);
				
			}
		}
		int[] answer = new int[N];
		int max = 0;
		for(int i=0;i<N;i++) {
			answer[i] = a_dp[i]+d_dp[i]-1;
			if(max<answer[i])
				max = answer[i];
		}
		
		System.out.println(max);
	}
}

'Algorithm > 백준' 카테고리의 다른 글

[BOJ] 1021: 회전하는 큐(JAVA)  (0) 2021.11.04
[BOJ] 10866: 덱(JAVA)  (0) 2021.11.03
[BOJ] 1697: 숨바꼭질(JAVA)  (0) 2021.11.02
[BOJ] 2293: 동전 1(JAVA)  (0) 2021.11.01
[BOJ] 11049: 행렬 곱셈 순서(JAVA)  (0) 2021.10.29